본문 바로가기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 총론

by 콩나물님 2023. 4. 12.
반응형

나무의사 과목 중 수목병리학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에 대해
향문사 ‘신고 수목병리학’ 저자 이종규 등에 관한 내용과 네이버 백과사전 등을 간추려 정리하려고 합니다.

현재 9회차 시험 준비중에 있으며 개인적으로 중요하다 여겨지는 부분에 대하여 흐름대로 정리합니다.
해당 페이지는 줄기 병해 총론에 관한 내용입니다.


1. 궤양의 발달과정

  • 병원균이 상처를 통하여 수목으로 들어간 후 휴면기 동안 수피를 침입하여 죽임
  • 수목은 감염된 조직의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을 형성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억제시키려고 노력함
  • 병원균은 다음 휴면기간 동안 유합조직을 침입
  • 수목은 새로운 유합조직을 형성
  • 해당 과정이 매년 계속적으로 반복됨


2. 궤양은 윤문형/ 확산형/ 궤양마름 으로 구분된다

3. 궤양의 특징

  • 궤양 내에서 병원균 이동이 상대적으로 느림
  • 대부분 수목의 부피생장 증가와 궤양의 생장이 비슷
  • 확산형: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거의 x, 길쭉타원형, 병원균 이동은 윤문형보다 빠름, 수목 부피생장보다 더 빠르게 확장됨, 감엽 후 몇 년 내 환상박피가 발생.
  • 궤양마름: 둥글거나 타원형 궤양, 생장기간 동안 급속히 발달(가지나 수목 전체가 1,2년 내에 죽기도 함), 유합조직이 전혀 없거나 거의 x.
  • 궤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일부는 수피와 목질부를 동시에 침입하는 능력을 지님.


4. 줄기 병원균의 생활사

  • 임의기생체: 궤양을 유발하는 병원곰팡이는 살아 있는 수목의 수피나 죽은 가지에서 부생적으로 생장한다.
  • 상처에 발생: 줄기와 그루터기에 많이 생김


5.줄기 병해의 처치

  • 줄기 병해를 방제: 감염된 조직을 모두 제거해야 함, 외과수술은 감염된 조직을 포함하여 일부 건전한 조직도 제거함
  • 줄기 병해를 치료한 후: 수세를 좋게 유지하기 위해서 규칙적인 관수와 균형된 시비가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