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밤나무에 발생하는 병.

1. 특징
- 외래 유입
- 나뭇가지나 줄기 발병
- 봄, 가을에 많이 발병
- 일본밤나무와 중국밤나무는 저항성
- 미국밤나무와 유럽밤나무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음
- 이 균은 죽은 조직과 참나무, 붉나무 등에도 기생하여 생존 할 수 있어서 피해가 더 컸음
- 이 병에 걸리면 1~10년 안에 열매도 맺지 못하고 죽음
- 기주는 밤나무, 참나무류
2. 병징, 병환
- 상처를 중심으로 병반 형성
- 초기 병징: 수피가 황갈색, 적갈색으로 변함
- 수세 약하면 병부위 약간 괴저되면서 급속히 확대됨
- 건강한 나무는 유합조직이 형성o, 암종 모양으로 부풀고 점차 길이 방향으로 균열
- 여름철 병징: 병징이 급속히 나타나서 멀리서도 쉽게 눈에 띔
- 뿌리는 살아o: 맹아가 새로 발생
- 병든 부위 수피 안에 황색의 두툼한 균사판이 나타남
- 병든 부위 황색 등의 분생포자각이 수피를 뚫고 다수 형성
- 습할 때 연황색 내지 적갈색의 포자덩이가 실 모양으로 누출됨
- 병원균은 분생포자와 자낭포자에 의해 감염이 시작됨
- 분생포자는 빗물이나 곤충에 의해 전반됨/ 바람에 의해 전반됨/ 상처로 침입함
- 병원균은 균사 또는 포자형으로 월동함
3. 병원균
- Cryphonectria parasitica (Murr.) Barr
- 자좌는 수피 밑에 형성, 수피 갈라진 틈으로 돌출
- 돌출된 자좌는 황색 내지 황갈색
- 자좌 아래쪽에 자낭각
- 자낭각의 목은 수피를 뚫고 돌출
- 자낭각은 4~5년 동안 살아 있어서 자낭포자는 수년 후에도 발아 가능
- 죽은 나무에서도 수년 동안 포자를 생성하면서 전파 가능함
4. 방제법
- 수세 강화에 신경써야 함
- 인위적 상처를 가했을 경우 병든 부위 도려내고 상처도포제를 발라줌
- 질소질 비료를 과용x
- 동해를 예방하기 위해 백색페인트를 바름
- 살충제 살포: 박쥐나방 등 천공성 해충피해를 막기 위해
- 내병성 품종 식재= 단택, 대보, 이취, 삼조생, 만적 등
- 저항성 품종 식재 = 이평, 은기
- 감수성 품종 조림 피함 = 옥광
- 생물적 방제인 저병원성 균주 (= 진균기생바이러스(dsRNA))
- 유럽의 저병원성 균주와 미국의 저병원성 균주와는 유전자서열이 다르고 바이러스도 달라서 병 방제에 효과가 없음
- 5~6월에 살균제를 살포함
*출처: 신고수목병리학, 산림보호학, 네이버지식백과
반응형
'나무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나무 가지마름병 [지고병] (0) | 2023.04.14 |
---|---|
밤나무 잉크병 (0) | 2023.04.14 |
[수목병리학]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 총론 (0) | 2023.04.12 |
[수목생리학] 2차 대사 물질 (0) | 2023.02.23 |
[나무의사] [토양학] 토양 생성과 발달, 03 (0) | 2023.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