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생성과정을 통하여 모재입자 크기의 감소, 광물의 변화와 재조합, 유기물의 첨가, 점토의 생성, 층위의 발달 등이 이루어진다.
1. 토양생성인자
-모재로부터 토양이 만들어지는 데 관여하는 인자
-모재, 기후, 지형, 생물 또는 식생, 시간 등 다섯 가지이며 상호 의존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다.
1) 모재
-산성 화성암류 모재에는 석영과 더불어 1가 양이온의 함량이 많다.
-염기성 화성암의 모재에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2가 양이온의 함량이 많다.
-동일 기후와 지형조건에서도 염기성 화성암의 모재지대에서는 갈색 토양이 생성, 산성 화성암 모재지대에서는 포드졸의 특성을 지닌 토양이 생성된다.
-배수가 잘 되는 굵은 입자의 모재에서는 물질의 하방이동이 활발하고, 반대로 고운 입자의 모재지대에서는 물의 이동이 제한 되어 회색화 현상이 발달. -우리 나라 토양의 모암은 2/3 이상이 선캄브리아시대의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이지만, 일부 지역에는 반암이 상당히 넓게 분포되어 있고,
영남 내륙에는 중생대의 경상계에 속하는 혈암, 사암, 역암 등 퇴적암류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2)기후
-토양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강우량과 기온이다.
-일반적으로 강수량이 많을수록 토양생성속도가 빨라지고 토심도 깊어지며, 강수의 세기는 지표 유거수의 발생량, 토양침식, 토양입자파괴 등에 영향을 끼친다.
-풍화속도는 온도의 지배를 받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풍화속도가 빨라진다.
-온도가 10도 상승하면 풍화과정에 작용하는 화학반응이 2~3배 이상 빨라진다.
-강수량이 많은 습윤지대에서는 Ca,Mg등의 양이온이 용탈되는데, 이로 인해 미포화 산성 교질이 생성된다.
-건조, 반건조지대에서는 Ca, Mg,K등이 포화되면서 유리의 Ca, Mg, Na 등이 Ca집적층이나 Na집적층을 형성하여 염류토나 알칼리토가 생성된다.
*한랭하고 강수량이 많은 기후조건에서는 토양유기물의 함량이 많고, 고온 기후에서는 강수량과 관계없이 유기물의 함량이 적은 토양이 생성된다. 3)지형
-지표면의 형상과 기복을 말한다.
-볼록지형이면 강우량의 일부가 유거되어 부분적 건조연쇄 현상을 유발
-오목지형이면 강우량 이상의 물이 집수되어 부분적 습윤연쇄 현상으로 토양의 수분상이 주변의 평탄지와 달라지기 때문에 용탈, 집적양상과 토양의 발달 정도가 달라진다.
*동일 모재가 동일한 시간동안/ 토양생성작용을 받으면/ = 평탄지는 구릉지보다 투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물질의 이동량이 많아 B층의 구조가 발달하고 점토의 함량도 많아지며, 표층은 용탈로 인하여 pH와 점토의 함량이 적어진다.
[습윤지대]
*배수가 잘 될때: 배수로 지하수위가 낮은 표층은 유기물의 분해량이 많아지고 총질소함량이 적어진다// 규산의 용탈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토양교질의 규반비가 낮아지고, A층에 대한 B층의 점토함량비가 높아지기 때문에 토층의 발달이 촉진된다.
*배수가 불량할 때: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건조지대]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수분의 모세관상승량이 많아져 염류집적량이 많아지고 알칼리화가 촉진된다.
4)생물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식물이므로 식생이 생물인자를 대표.
-삼림지대에서는 낙엽의 축적으로 O층이 발달한다.
-식물 뿌리의 활성 또한 토양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토양의 구조를 발달시킬 뿐만 아니라 산성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광물의 풍화를 촉진한다.
5)시간
-시간인자의 누적효과는 토양발달도로 나타내며, 이는 단면에서 층위의 분화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층위의 수나 두께 및 질적 차이 등이 모두 층위 분화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동일 모재라 하더라도 기후조건에 따라 풍화되는 속도가 크게 달라지는데, 석회암은 습윤지대에서 빨리 풍화되지만, 건조한 지대에서는 풍화 속도가 매우 느리다.
*출처: 향문사 토양학, 제 1장
'나무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나무 줄기마름병 [동고병] (0) | 2023.04.12 |
---|---|
[수목병리학]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 총론 (0) | 2023.04.12 |
[수목생리학] 2차 대사 물질 (0) | 2023.02.23 |
[나무의사] [토양학] 토양 생성과 발달, 03 (0) | 2023.02.12 |
[나무의사] [토양학] 토양 생성과 발달, 01 (0) | 2023.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