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의사

밤나무 잉크병

by 콩나물님 2023. 4. 14.
반응형

1. 잉크병이란?

  • 병든 뿌리와 수간의 하부에서 잉크처럼 검은색의 액체가 스며나오는 것에서 유래된 이름
  • 1917년에 처음 동정됨
  • Phytophthora에 의해 뿌리나 수간 하부에서 주로 발생함 =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이라고도 함
  • 기주: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일본 밤나무, 중국 밤나무, 유럽밤나무, 미국밤나무 등


2. 병원균

  • Phytophthora katsurae W.H. Ko & H.S Chang(한국, 일본)
  • P. Cinnamomi, P. Cambivora (미국, 유럽)


3. 병징 및 병환

  •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임지에서 발생, 병원균의 유주포자가 뿌리 가해, 감염시킴
  • 줄기로 번지면서 검고, 움푹 가라앉은 궤양 형성
  • 궤양을 가르면 검은색 액체가 흘러나옴
  • 감염 수목에서 잎의 수와 크기가 작아지고, 미성숙 상태로 말라죽는 쇠락현상이 발생
  • 밤송이는 성숙하지 않은 채로 가지에 달림
  • 결국에는 고사
  • 깃(collar) 부위에 검은 괴저증상
  • 수피를 제거하면 건전부와 특징적으로 구분되는 적~암갈색의 변색 부위를 볼 수 있음
  • 변색부위는 원뿌리에서 시작-> 수간 윗부분으로 퍼져나감
  • 잔뿌리(세근)은 완전히 죽음
  • 성목 뿐만아니라 묘목도 감염될 수 있음
  • 어린나무에서 병 진전속도가 빠름
  • 수피표면이 젖고, 외부 습도가 높으면 검은색 액체가 흘러나오는 증상
  • 병원균은 휴면포자 상태로 토양 내에서 수년간 생존 가능
  • 미국밤나무와 유럽밤나무는 대체로 감수성
  • 중국밤나무와 일본밤나무는 저항성
  • 우리나라에는 2007년에 처음으로 보고됨


4. 방제법

  • 배수관리
  • 저항성 대목 사용
  • 침투성 살균제 사용은 경제적, 생태적 결점이 많으므로 자제..


*출처: 신고수목병리학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