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특징
- 주로 10년생 내외의 일본잎갈나무에서 피해가 심함
- 고온 다습하고 강한 바람이 마주치는 임지에서 특히 심함
2. 병원균
- Guignardia laricina
- 수피 아래 구형의 자낭각이 단독 or 집단으로 형성
- 분생포자각은 수피 아래 형성되며 자낭각보다 다소 작은 구형
3. 병징 및 병환
- 새로 나온 잎이나 가지가 감염
- 감염부는 약간 퇴색, 수축되고/ 흘러내린 수지로 인해 희게 보임
- 6~7월 감염: 수관의 위쪽만 남기고 낙엽되어 가지 끝이 아래로 처짐
- 8~9월 감염: 가지는 꼿꼿이 선 채로 말라죽음
- 어린 묘목: 감염부위의 위쪽이 말라죽음
- 이식묘: 죽은 가지는 총생하여 빗자루 모양을 한 무정묘가 됨
- 2차 생장을 한 숨은눈(잠아): 때때로 감염되어 눈마름 증상을 보임
- 매년 피해가 반복되는 조림지에서는 수고생장이 정지되고 많은 가지가 밀생하여 빗자루모양이 됨
- 7월경부터: 감염된 가지의 윗부분과 침엽 뒷면에 검은색 분생포자각이 많이 형성됨
- 9월경부터~ 이듬해 봄까지: 감염된 가지의 아래쪽에는 자낭각이 조직을 뚫고 몇 개씩 줄을 지어 형성되어 월동
- 이듬해 5~6월 사이: 성숙한 자낭각에서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전염원이 됨
4. 방제법
- 묘포에서 병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 병든 묘목은 철저히 제거하여 태우고 임지로 반출되지 않도록 함
- 방풍림 조성
- 조림지에 적절한 약제를 7월 상순부터 2주 간격으로 3~4회 살포/ 대면적 조림지에서는 헬리콥터로 약제 살포함
*출처: 신고수목병리학
반응형
'나무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잣나무 수지동고병(수지동고병) (0) | 2023.05.17 |
---|---|
편백, 화백 가지마름병(수지동고병) (0) | 2023.05.17 |
소나무 가지끝마름병 (0) | 2023.05.17 |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0) | 2023.05.17 |
소나무류 수지궤양병(송진가지마름병, 푸자리움가지마름병) (0) | 2023.05.17 |
댓글